구성원 일반 현황
서비스탑은 컨택센터 특성상 여성이 많은 조직으로 재택근무 및 육아단축근무, 육아휴직 등 일가정 양립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휴가, 휴직 제도와 선택적
복리후생/의료비/종합검진 지원 등 다양한 복리후생 지원으로 안정적인 고용 유지에 힘쓰고 있습니다.
‘23년은 AI기술로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고자 고객이 직접 신청/변경하는 다양한 채널이 확대되었고 이로 인해 인입 상담의 감소로 전체 인력은 ‘22년과 비교하여 10%
감소하였습니다.
컨택센터 업무 특성상 퇴사율이 높지만 동종업계 회사 중에서도 낮은 퇴사율을 유지하며, ‘22년 대비 총퇴사자는 6% 감소로 고용 안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구성원 Retention 외에도 '23년 AICC Company 운영에 꼭 필요한 핵심 인력 400여 명을 채용하여 실용과 핵심에 기반한 상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구성원 일반 현황 : 구분, 단위, 2021, 2022, 2023에 대한 표입니다.
구분 |
단위 |
2021 |
2022 |
2023 |
인원현황 |
전체 인력 |
전체 |
명 |
3,131 |
3,088 |
2,780 |
국내 |
명 |
3,131 |
3,088 |
2,780 |
해외 |
명 |
- |
- |
- |
정규직 고용 |
명 |
3,115 |
3,073 |
2,765 |
비정규직 고용 |
명 |
16 |
15 |
15 |
성별 |
여성 전체 |
전체 |
명 |
2,510 |
2,438 |
2,205 |
정규직 |
명 |
2,499 |
2,428 |
2,195 |
비정규직 |
명 |
11 |
10 |
10 |
여성인력 비율 |
% |
80% |
79% |
79% |
장애인 고용 |
장애인 고용 전체 |
명 |
63 |
63 |
62 |
신규 채용 |
전체 |
전체 |
명 |
383 |
711 |
422 |
정규직 |
명 |
378 |
708 |
417 |
비정규직 |
명 |
5 |
3 |
5 |
성별 |
여성 |
명 |
302 |
533 |
300 |
남성 |
명 |
81 |
178 |
122 |
여성비율 |
% |
79% |
75% |
71% |
퇴직 |
총 퇴직자 수 |
전체 |
명 |
706 |
766 |
724 |
정규직 |
명 |
701 |
762 |
719 |
비정규직 |
명 |
5 |
4 |
5 |
총 퇴직율 |
% |
18.4% |
19.9% |
26.0% |
월 평균 퇴직율 |
% |
1.8% |
2.1% |
2.0% |
자발적 퇴직율 |
% |
22% |
24% |
25% |
육아휴직 복귀율 |
육아휴직 복귀율 |
% |
89.64% |
87.20% |
88% |
*전체 인력은 정규직+비정규직(계약/파견)
다음
구성원 교육 현황
컨택센터의 업의 본질적 특성상, 사내(社內) 우수 역량과 노하우 기반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실무 역량 향상 교육을 중심으로 리더십, 소양, Mind Set 등 다양한 맞춤형
교육을 통해 구성원의 성장과 자기 계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22년 대비 ‘23년 교육 투자 비용이 감소한 것은 신입 채용 감소(711명→422명)에 따른 관련 교육 감소에 따른
것이며, 온라인 교육 시간이 감소한 것은 코로나 팬데믹 기간 중 온라인으로 대체했던 교육 과정들을 ‘23년부터 다시 오프라인으로 운영하고, MZ세대 구성원들의 Needs와 교육
효과성 등을 고려, 쇼츠(Shorts) 영상 형태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작이 확대된 영향입니다. mySUNI를 비롯한 수준 높은 외부 온라인 교육을 통해 구성원들의 교육 참여
확대와 자기주도 학습을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AI/DX 관련 서비스에 맞는 디지털 역량 강화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정확하고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고객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구성원 교육 및 평가 현황 : 구분, 단위, 2021, 2022, 2023에 대한 표입니다.
구분 |
단위 |
2021 |
2022 |
2023 |
교육 투자 비용 |
투자 비용 |
원 |
414,093,504 |
662,886,732 |
540,823,189 |
인당 교육 비용 |
원 |
132,935 |
215,713 |
195,596 |
교육 시간 |
온라인 교육 시간 |
시간 |
22,294 |
27,876 |
6,099 |
오프라인 교육 시간 |
시간 |
3,257 |
1,256 |
3,174 |
다음
안전보건 관리 현황
서비스탑은 구성원 등 이해관계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최우선 가치이자 행동의 기본원칙을 인식하고, '중대재해 Zero' 를 목표로 강화된 안전관리 체계를 준수하고 실천할
것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중대재해처벌법, 산업안전보건법 등 구성원 안전과 보건에 관련한 법적 이행 사항을 준수하고 있으며, 감정 근로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자격을 갖춘 전문
심리상담사를 직접 고용하여 구성원 심리 안정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폭언, 성희롱 등 고객의 억지 주장으로부터 구성원 보호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안전보건 관리 현황 : 재해율, 단위, 2021, 2022, 2023에 대한 표입니다.
구분 |
단위 |
2021 |
2022 |
2023 |
재해율 |
% |
3.1% |
9.8% |
3.0% |
다음
기업 데이터 및 고객정보보호현황
고객정보 보호는 어떤 것에도 양보할 수 없는 고객과의 약속이며, 모든 의사결정 과정 중 가장 먼저, 가장 폭넓게 고려되는 요소입니다 재직 중인 모든 구성원은 입사와 동시에
정보보호 교육을 정기적으로 이수하고, 이를 철저히 이행할 의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저희는 정보보호 리스크를 Zero화 하기 위해 정보보호 정책을 수립하고, 사내에서 운용되는 모든
IT 자산을 정보보호 솔루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안 취약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3년 정보보호 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재직 구성원의 정보보호 생활화를 위한 교육으로 전환
- 정보보호 실무 담당자의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한 오프라인 실무 교육으로 전환
이와 같은 교육을 통해 저희는 더욱 철저한 정보보호를 실현하고, 고객 여러분께 더욱 신뢰받는 서비스탑이 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기업 데이터 및 고객정보 보호 현황 : 구분, 단위, 2021, 2022, 2023에 대한 표입니다.
구분 |
단위 |
2021 |
2022 |
2023 |
개인정보, 사이버 보안 교육 현황 |
교육 시간 |
시간 |
1,749 |
1,568 |
962 |
교육 참석률 |
% |
100% |
100% |
100% |
정보보안 침해 |
사고 발생 건수 |
회 |
0 |
0 |
0 |
벌금 및 과태료 |
원 |
0 |
0 |
0 |
다음
서비스탑 기부 현황
서비스탑은 전사 구성원의 높은 사회공헌 인식을 통해 끝전공제기부, 급여공제 기부 등 다양한 기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4년은 환경보호 포인트제를 도입해
환경보호 실천 인증 시 기부로 연계되는 캠페인을 시행하여 구성원들의 자발적 관심과 참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서비스탑 기부 현황 : 현금기부, 단위, 2021, 2022, 2023에 대한 표입니다.
구분 |
단위 |
2021 |
2022 |
2023 |
사회공헌 비용 |
현금 기부 |
원 |
17,358,000 |
27,738,987 |
32,255,034 |
다음
협력사 현황
간헐적 일시적 성격의 물품 구매 거래 업체를 제외하고, 총 50~53개 사와 협력 관계에 있으며, 핵심 비즈니스와의 연관성, 높은 수준의 거래액, 독점기술에 대한 대체 불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주요 협력업체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주요 협력업체에는 고객센터 사업 비즈니스 특성상 구성원 채용 Sourcing을 담당하는 파트너사, IT 유지 보수 파트너사 등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상호 상생 발전을 위해 투명하고 건전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협력사 현황 : 구분, 단위, 2021, 2022, 2023에 대한 표입니다.
구분 |
단위 |
2021 |
2022 |
2023 |
협력 업체 수 |
총 협력 업체 수 |
개 |
50 |
53 |
52 |
주요 협력업체 |
개 |
20 |
19 |
20 |
구매 금액 |
총 구매 금액 |
원 |
4,136,278,872 |
3,784,024,975 |
4,043,072,511 |
주요 협력업체 구매금액 |
원 |
3,380,106,542 |
2,794,500,325 |
3,252,429,920 |
다음
환경 데이터
서비스탑은 고객센터 비즈니스의 특성상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소비량의 대부분은 전력 사용에 기인합니다.
사업장의 전력 소비량이 낮은 LED 조명 교체를 통해 에너지 절감, 계단 이용을 통한 엘리베이터 이용 감소, 대기전력 절감, 저전력 PC 사용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에너지 감소를
생활화하는 캠페인 운영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3년 코로나19 종료 후 재택 → 내근으로의 전환 및 신규채용 증가로 인한 사업확장으로
에너지 소비가 약간 증가한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에너지 절감 정책,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해 나갈 계획입니다.
환경 데이터 : 구분, 단위, 2021, 2022, 2023에 대한 표입니다.
구분 |
단위 |
2021 |
2022 |
2023 |
온실가스 총 배출량 |
총계 |
tonCO2e |
11,810 |
10,826 |
12,719 |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1) |
tonCO2e |
267 |
258 |
232 |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2) |
tonCO2e |
11,534 |
10,568 |
12,487 |
에너지 소비량 |
총량 |
GJ |
246,303 |
225,793 |
265,396 |
직접 에너지 소비량 |
GJ |
5,102 |
4,915 |
4,406 |
간접 에너지 소비량 |
GJ |
241,201 |
220,878 |
260,990 |
재생에너지 |
재생가능 에너지 총 사용량 |
MWh |
- |
- |
- |
용수 사용량 |
용수 사용량 |
㎥ |
71,812 |
41,083 |
39,741 |
일반 폐기물 |
생활 폐기물 |
Ton |
103 |
52 |
68 |
재활용 |
총량 |
Ton |
82 |
31 |
30 |
처음